2025/09/16 3

Java 서블릿(Servlet)과 JSP

Servlet 자바(Java)에서 Servlet을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차이를 이해하면 “왜 톰캣 같은 WAS가 필요한가?”까지 연결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.🔹 1. Servlet이란?Servlet = 자바 기반의 웹 요청/응답 처리 규격(인터페이스)즉, “HTTP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고 응답하는 표준 방식”을 정의한 것.개발자는 HttpServlet을 상속받아 doGet(), doPost() 같은 메서드를 구현하면 됩니다.실행은 톰캣 같은 **WAS(Web Application Server)**가 해 줍니다.🔹 2. Servlet을 사용하지 않고 웹을 만든다면?개발자가 **소켓 프로그래밍(java.net.ServerSocket)**으로 직접 서버를 만들어야 합니다.클라이언트(브라우저) 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9.16

서버, 클라이언트, 웹서버와 WAS, 그리고 톰캣

왕초보를 위한 서버와 클라이언트.내가 이해한 방식을 기재함.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일종의 역할.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개념 1. 클라이언트 - 웹페이지 등 특정 요청을 하고 그에 따라 응답을 받고, 그것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. 예) 브라우저에서 특정 주소에 접속 => 페이지 렌더링 요청 => (서버 역할) => 응답 받은 페이지를 브라우저에 띄움 2. 서버 - 클라이언트 요청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 예) 아이디 비번 입력 후 확인 클릭 시 로그인 승인 결과 처리, 게시글 작성 후 저장 등 2-1. 웹서버-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에서 오는 웹 요청(HTTP/HTTPS) 제공 언제 서버가 필요한가? HTML로 정적인 단일페이지 여러개 만들 수 있음(정적 다중페이지).이것을 index.html, about.h..

서버 2025.09.16

게이트웨이(Gateway)와 프록시(Proxy)

1. 게이트웨이(Gateway) - 네트워크나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오가는 입구- 보안/관리: 서로 다른 네트워크나 시스템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, 게이트웨이를 거쳐 통신하도록 함. 외부 요청을 한 번에 모아서 확인 제어.- 프로토콜 변환: 예를 들어 내부 시스템은 TCP만 이해하고 외부는 HTTP를쓰는 경우, 게이트웨이가 중간에서 변환 1-1. APIG (API Gateway) - 클라우드나 마이크로서비스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클라이언트 요청 관리외부(웹, 모바일 앱 등)에서 들어오는 API 요청을 단일 진입점으로 받아줍니다.여러 개의 마이크로서비스(API 서버)들이 있더라도, 사용자는 게이트웨이 주소 하나만 호출하면 됩니다.라우팅요청 경로(/users, /orders 등)에 따라 해당하는 내부 서..

서버 2025.09.16